3분만에 이집트 상형문자 읽는법 | 히에로글리프 신성문자 해독의 모든 것

당신도 모르게 지나친 4000년의 비밀 코드

테티쉐리를 기리는 아모스의 석비 – Egyptian Museum CG 340026

박물관에서 이집트 유물 앞에 서면 누구나 한 번쯤 이런 생각을 해봅니다. “저 신비로운 이집트 상형문자(히에로글리프)는 도대체 무슨 뜻일까?” 벽면을 가득 채운 새와 눈, 사람 모양의 고대 이집트 문자들이 마치 고대인들이 남긴 암호처럼 보이죠.

놀랍게도 이 히에로글리프는 4000년 전부터 사용된 완전한 이집트 상형문자 체계입니다. 더욱 놀라운 것은 200년 전까지만 해도 이 고대 이집트 문자를 읽을 수 있는 사람이 지구상에 단 한 명도 없었다는 사실입니다.

 

대영박물관의 로제타석

1799년, 나폴레옹의 이집트 원정 중 우연히 발견된 로제타석이 모든 것을 바꿨습니다. 이 돌 위에 새겨진 세 가지 문자 중 하나인 그리스어를 단서로, 프랑스의 언어 천재 샹폴리옹이 1824년 마침내 이집트 상형문자 해독의 비밀을 풀어냈습니다. 1500년 동안 잠들어 있던 고대 이집트 히에로글리프가 다시 살아난 순간이었죠.

그림처럼 보이는 이집트 유물들은 실제로는 생생한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파라오의 업적, 신들에 대한 찬양, 죽은 자를 위한 기도문까지요. 이제 히에로글리프 읽는법을 함께 배워보겠습니다.

이집트 상형문자는 그림이 아니라 소리다

히에로글리프를 처음 보는 사람들이 가장 많이 하는 착각이 있습니다. “사자 그림은 사자를 뜻하고, 새 그림은 새를 뜻할 거야.” 하지만 이것은 완전히 틀린 생각입니다.

이집트 상형문자 해독의 핵심 비밀은 바로 표음문자라는 점입니다. 즉, 그림이 뜻하는 바가 아니라 소리를 나타낸다는 것이죠. 마치 우리가 한글을 볼 때 ‘ㄱ, ㄴ, ㄷ’이라는 기호가 특정한 소리를 나타내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예를 들어 사자 모양의 히에로글리프 𓃭는 사자를 뜻하는 것이 아니라 ‘L’ 소리를 나타냅니다. 새 모양의 𓅞는 새가 아니라 따오기를 상징하는 토트 신의 이름에서 따온 복합음을 담고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이집트 상형문자 해독의 출발점입니다. 그림의 의미가 아니라 소리에 집중해야 한다는 것 말이죠.

표음문자로 프톨레마이오스를 읽는법

알파벳처럼 읽는다: 히에로글리프 홑소리 글자의 원리

이집트 상형문자를 이해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홑소리 글자부터 시작하는 것입니다. 이들은 알파벳처럼 하나의 자음 소리를 나타내며, 전체 히에로글리프 체계의 기초가 됩니다.
먼저 우리에게 친숙한 소리들을 살펴보겠습니다:

  • 𓃀 = B 
  • 𓆑 = F 
  • 𓅓 = M 
  • 𓈖 = N 
  • 𓂋 = R
  • 𓋴 = S 

이미 여러분은 6개의 이집트 상형문자를 읽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고대 이집트어는 주로 자음 중심이었기 때문에, 모음은 상대적으로 적게 표기되었습니다. 마치 한국어에서 ‘ㅂㄱ’만 써도 ‘바가’, ‘보고’, ‘부기’ 등으로 읽을 수 있는 것처럼 말이죠.

여기서 중요한 히에로글리프 읽는법 팁 하나! 이집트 상형문자를 발음할 때는 자음 사이에 ‘e(에)’ 소리를 넣어서 읽습니다. 예를 들어 𓄤는 ‘nfr’이지만 ‘네페르’로 발음하는 식입니다.

쉬운 홑소리 문자

히에로글리프의 방향과 순서의 법칙

이집트 상형문자가 어려워 보이는 또 다른 이유는 읽는 방향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놀랍게도 히에로글리프 자체가 읽는 방향을 알려주는 친절한 시스템을 가지고 있습니다.
바로 동물이나 사람이 바라보는 방향이 문장의 시작점입니다.
쉬운 홑소리 문자
쉬운 홑소리 문자

예를 들어 새나 뱀 같은 동물 모양의 이집트 상형문자가 왼쪽을 보고 있다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읽어야 합니다. 반대로 오른쪽을 보고 있다면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읽는 것이죠.

세로로 쓰인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동물들이 바라보는 쪽이 시작점이 되어, 그 방향으로 세로로 읽어내려간 후 옆 줄로 넘어갑니다.

상형문자에는 띄어쓰기가 없습니다. 대신 단어와 단어 사이는 문맥과 특정한 표시로 구분합니다. 이것이 초보자에게는 어려울 수 있지만, 몇 가지 기본 패턴을 알면 훨씬 쉬워집니다.

문장의 기본 구조는 서술어 + 주어 + 목적어 순서입니다. 이는 한국어와 다르지만 영어보다는 유연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중요한 단어일수록 앞자리를 차지하는 특성도 있어서, 신의 이름 같은 경우 문법적 순서를 무시하고 맨 앞에 오기도 합니다.

심화 - 이집트 상형문자 한정문자를 알아보자

히에로글리프 해독의 마지막 퍼즐 조각은 바로 한정문자입니다.  한정문자는 단어의 끝에 와서 그 단어가 어떤 범주에 속하는지 알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소리에는 참여하지 않고, 오직 의미를 명확하게 해주는 표시일 뿐입니다.

한정문자 예시

이 두 단어는 같은 음역을 가지고 있지만 앞에 있는 단어는 “노년”을, 뒤에 있는 단어는 “찬미”를 뜻하는 단어가 됩니다. 

한정문자로 쓰인 상형문자의 형태만 봐도 단어의 의미가 보이지 않으세요?

심화 - 이집트 상형문자 문장을 읽어보자

이제 드디어 이것들을 가지고 문장을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런데 이집트 상형문자에는 띄어쓰기가 없습니다.  다만 처음에는 어디서부터 어디까지가 단어인지 알기 어려운데 여러분들을 위해서 처음 예시만 띄어쓰기를 해드리겠습니다.

기본적인 문장을 만들기 위해서는 주어, 서술어, 때에 따라 목적어가 필요한데 상형문자로 문장을 만들 때 이것들을 배치하는 순서는 기본적으로 “서술어 + 주어 + 목적어” 순서로 합니다.

이집트 상형문자로 된 문장은 우리 말과는 다르게 서술어로 시작합니다. 그리고 주어와 목적어 중에 대명사가 있을 때는 대명사가 보통명사보다 앞에 오게 되고 둘 다 대명사일 때는 주어가 목적어 앞에 옵니다.

현재는 잘 이해가 되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찾으시는 내용에 도움이 되셨나요?

최대한 많은 내용을 쉽게 전달하려 노력했지만, 짧은 블로그 글로는 한계가 있어 미처 다 풀어내지 못한 부분들이 있습니다. 

또한 압축적인 블로그 글의 특성상 이해가 어려운 부분이나 더 알고 싶은 내용도 있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이번 글이 흥미로우셨다면, 더 깊고 풍성한 이야기를 담은 책을 통해 제대로 알아보시는 건 어떨까요?

아래의 도서를 통해, 구조화된 깊은 지식을 만나보세요!